● 역만(役滿)
역만은 가장 득점이 높은 역이나, 그만큼 나오기 어려운 역이기도 하다. 역만은 다른 역과 복합하더라도, 득점은 변하지 않는다. 단, 역만끼리의 복합은 인정하고 있는 곳도 있다.
1. 구련보등(九連寶燈)
구련보등은 통칭 구련(九連)이라 하며, 1, 9를 3패씩, 2~8을 1패씩, 그리고 1~9를 1패 모은 것을 말한다.
또한, 구련보등은 역만중의 역만이라 불리며, 가장 만들기 어려운 역만이라고도 한다.
구면대기인 경우를 순정구련(純正九連 : 첫번째 예)이라 하며, 더블역만(역만이 복합되어 있는 것. 점수가 역만 2개분이 된다)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대기패





















대기패
2. 녹일색(綠一色)
녹일색은, 손패를 삭수패
,
,
,
,
과
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이 없으면 녹일색으로 인정하지 않는 곳도 있다.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3. 쓰안커(四暗刻)
쓰안커는, 통칭 쓰안(四暗)이라 하며, 안커 또는 안깡으로 4멘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쓰안커가 확정된 것(단기대기)를,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인 경우에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이 되지 않는다.













대기패













대기패
4. 쓰깡쯔(四槓子)
쓰깡쯔는, 깡쯔로 4멘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인 경우에는 쓰안커와 복합되므로,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5. 청노두(淸老頭)
청노두는, 통칭 청로(淸老)라고 하며, 손패를 노두패(老頭牌)만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6. 국사무쌍(國士無雙)
국사무쌍은, 통칭 국사(國士)라고 하며, 모든 요구패를 1패씩 모은 것에 추가로 요구패 하나를 더한 것을 말한다. 13면대기인 경우(첫번째 예),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이때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이 되지 않으나, 울 수도 없다.













대기패

























대기패
7. 대삼원(大三元)
대삼원은, 삼원패로 3멘쯔(커쯔, 깡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8. 소사희(小四喜)
소사희는, 바람패로 3멘쯔(커쯔, 깡쯔), 1작두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9. 대사희(大四喜)
대사희는, 바람패로 4멘쯔(커쯔, 깡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또한, 대사희를 더블 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10. 자일색(字一色)
자일색은, 손패를 자패만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11. 천화(天和)
천화는, 친(親)이 배패로 난 상태를 말한다.
12. 지화(地和)
지화는, 자(子)가 치, 뻥, 깡이 없는 상태(他家, 自家 불문)에서 자(子)가 첫번째 쯔모로 나는 것을 말한다.
13. 인화(人和)
인화는, 치, 뻥, 깡이 없는 상태(他家, 自家 불문)에서, 첫번째 쯔모 전에 론으로 나는 것을 말한다.
인화를 인정하지 않는 곳과, 만관으로 취급하는 곳도 있다. 또한, 친(親)에게만 인화를 인정하는 곳도 있다.
역만은 가장 득점이 높은 역이나, 그만큼 나오기 어려운 역이기도 하다. 역만은 다른 역과 복합하더라도, 득점은 변하지 않는다. 단, 역만끼리의 복합은 인정하고 있는 곳도 있다.
1. 구련보등(九連寶燈)
구련보등은 통칭 구련(九連)이라 하며, 1, 9를 3패씩, 2~8을 1패씩, 그리고 1~9를 1패 모은 것을 말한다.
또한, 구련보등은 역만중의 역만이라 불리며, 가장 만들기 어려운 역만이라고도 한다.
구면대기인 경우를 순정구련(純正九連 : 첫번째 예)이라 하며, 더블역만(역만이 복합되어 있는 것. 점수가 역만 2개분이 된다)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대기패






















대기패

2. 녹일색(綠一色)
녹일색은, 손패를 삭수패




















대기패















대기패


3. 쓰안커(四暗刻)
쓰안커는, 통칭 쓰안(四暗)이라 하며, 안커 또는 안깡으로 4멘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쓰안커가 확정된 것(단기대기)를,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인 경우에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이 되지 않는다.













대기패















대기패

4. 쓰깡쯔(四槓子)
쓰깡쯔는, 깡쯔로 4멘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인 경우에는 쓰안커와 복합되므로,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5. 청노두(淸老頭)
청노두는, 통칭 청로(淸老)라고 하며, 손패를 노두패(老頭牌)만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6. 국사무쌍(國士無雙)
국사무쌍은, 통칭 국사(國士)라고 하며, 모든 요구패를 1패씩 모은 것에 추가로 요구패 하나를 더한 것을 말한다. 13면대기인 경우(첫번째 예), 더블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이때만 역만이 되며, 울면 역만이 되지 않으나, 울 수도 없다.













대기패


























대기패

7. 대삼원(大三元)
대삼원은, 삼원패로 3멘쯔(커쯔, 깡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8. 소사희(小四喜)
소사희는, 바람패로 3멘쯔(커쯔, 깡쯔), 1작두를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9. 대사희(大四喜)
대사희는, 바람패로 4멘쯔(커쯔, 깡쯔)를 만든 것을 말한다.
또한, 대사희를 더블 역만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10. 자일색(字一色)
자일색은, 손패를 자패만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멘젠에서도, 울어도 역만이 된다.














대기패















대기패


11. 천화(天和)
천화는, 친(親)이 배패로 난 상태를 말한다.
12. 지화(地和)
지화는, 자(子)가 치, 뻥, 깡이 없는 상태(他家, 自家 불문)에서 자(子)가 첫번째 쯔모로 나는 것을 말한다.
13. 인화(人和)
인화는, 치, 뻥, 깡이 없는 상태(他家, 自家 불문)에서, 첫번째 쯔모 전에 론으로 나는 것을 말한다.
인화를 인정하지 않는 곳과, 만관으로 취급하는 곳도 있다. 또한, 친(親)에게만 인화를 인정하는 곳도 있다.
'마작 > Ru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작 Rule - 8-7. 고역(古役) (0) | 2008.03.05 |
---|---|
마작 Rule - 8-6. 그 외의 역(役) (0) | 2008.03.05 |
마작 Rule - 7. 기본부(基本符) (0) | 2008.03.04 |
마작 Rule - 6. 대기 (2) | 2008.03.01 |
마작 Rule - 5. 오르기(나기), 텐파이(聽牌) (6) | 200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