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
(A)(B)는 14매이며, 1장 버릴 필요가 있다. 1순(巡)째의 제 1타.
배패를 보면, 먼저 어느 역을 노릴지를 생각하자.
(A)는 보통의 핑후, 345 삼색동순이나 일기통관도 쯔모 여부에 따라 노릴 수 있다.
일기통관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은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자.
1순째의 제 1타는, 단순하게 자패부터 버려가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B), 이런 형태는 주의해야 한다. '역 없음'이 되기 쉬운 전형이다.
나 부터 버리는 것은 NG. 수가 무거우므로, 은 다른 사람이 울지 못하도록 쥐고 있자.
노릴 수 있는 역은 찬타, 역패, 그리고 치또이쯔 정도일까.
착각하더라도 "핑후를 노리자"는 생각은 해선 안된다. 버리기가 좋을 것이다.
'마작 > 초급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28. 일기통관을 간파한다 (0) | 2008.04.13 |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27. 제 1타는 신중하게(3) (0) | 2008.04.12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25. 제 1타는 신중하게(1) (0) | 2008.04.11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24. 23445(2) (0) | 2008.04.10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23. 23445(1) (0)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