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타가(他家)에서
(B)
(A)는 13매이다. 거기에 이 나온 것인데, 뻥을 해야 할까.
역이 역패이외에는 생각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뻥을 해버리는 사람도 많을 것이나,
(A)의 형태에서 뻥을 해도 텐파이까지 도달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예)
버림
(A)는 원래 날 수 있는 패가 아니다. 날 수 없는 패라고 단정하자.
역패는 뻥을 하지 말고 안전패로 이용. 뻥은 최소한 (B) 정도는 되고 나서.
나라면 (A)에 요구패를 뽑으면, ,
근처를 아예 버려버린다.
(B)와 같은 낮은 역으로 끝내지 않고, 찬타를 멘젠에서 만드는 것이다.
쯔모 여부에 따라 123 삼색이나 (안커) 까지 발전할지도 모른다.
'마작 > 초급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38. 역패의 뻥은 해야 할까(3) (0) | 2008.04.20 |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37. 역패의 뻥은 해야 할까(2) (0) | 2008.04.19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35. 삼색을 만드는 패(3) (0) | 2008.04.18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34. 삼색을 만드는 패(2) (0) | 2008.04.17 |
초급 마작 강좌 - Lesson 33. 삼색을 만드는 패(1) (0) | 2008.04.16 |